본문 바로가기
전체메뉴닫기
HOME
Language
Language
English
中國語
병원 선택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치과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어린이병원
로그인
회원가입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질환정보
고객참여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이용안내
로그인
회원가입
아이디/비밀번호 찾기
아이디찾기
비밀번호찾기
개인정보처리방침
영상정보처리기기운영방침
이메일무단수집거부
환자의권리와의무
정보공개및경영공시
고객사랑통합콜센터
마이페이지
진료예약조회
복약안내
바로가기 서비스
진료부서
진료부서
소아청소년과
소아청소년 감염과
소아청소년 내분비과
소아청소년 소화기영양과
소아청소년 신경과
소아청소년 신장과
소아청소년 심장과
소아호흡기·알레르기과
소아청소년 혈액종양과
신생아과
소아비뇨의학과
소아신경외과
소아안과
소아성형외과
소아외과
소아이비인후과
소아재활의학과
소아정신건강의학과
소아정형외과
소아피부과
소아흉부외과
산부인과(미성년)
CNUH 네트워크
CNUH 네트워크
전남대학교
생명의학연구윤리심의위원회
임상시험센터
의생명연구원
희귀난치질환통합케어센터
해바라기이동센터
광주북구정신건강증진센터
패밀리사이트
패밀리사이트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빛고을관절센터
전남대학교치과병원
전남대학교의과대학
전남대학교치의학전문대학원
전남대학교간호대학
전남대학교병원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치과병원
빛고을전남대학교병원
전남대학교어린이병원
HOME
로그인
회원가입
LANGUAGE
English
中國語
전체메뉴보기
진료안내
진료안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예약/조회/발급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건강정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질환정보
고객참여
고객참여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안내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CNUH스토리
환자들 얼굴에 미소를
부르는 친절한 스마트병원이
되겠습니다.
고객사랑 통합콜센터
1899-0000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1899-0000
진료안내
진료과/의료진
진료과/의료진
진료지원부서
소아청소년완화의료
진료일정
진료안내
외래진료
비급여진료 수가고지
응급진료안내
입/퇴원안내
입퇴원절차
면회안내
예약/조회/발급
진료예약
진료예약안내
진료예약
진료예약조회
회원조회
비회원조회
진료기록사본발급
건강정보
질환정보
고객참여
칭찬합시다
병원이용FAQ
어린이병원학교
병원학교소개
학교갤러리
병원안내
병원소개
병원장인사말
병원연혁
HI/캐릭터
병원소식
공지사항
언론보도
갤러리
채용정보
오시는길
병원오시는길
대중교통안내
셔틀버스이용
종합안내도
병원층별안내
주차안내
전화번호안내
CNUH스토리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홈
CNUH스토리
진료안내
예약/조회/발급
건강정보
고객참여
병원안내
CNUH스토리
이용안내
마이페이지
인물포커스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인물포커스
가
CNUH스토리
CNUH STORY
사랑나눔 행복더하기
칭찬합시다
인물포커스
자원봉사
발전후원회
어린이 국민권익위원회
인물포커스
게시판 목록
• 총
262
검색기준
제목
내용
작성자
검색어
화순전남대병원 남택근·정재욱·조익준 교수팀, ROJ논문상 수상
화순전남대병원 남택근·정재욱·조익준 교수팀, ROJ논문상 수상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 게재…우수성 및 연구성과 인정 좌,우로 드래그 하세요 <남택근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정재욱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조익준 방사선종양학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방사선종양학과 남택근·정재욱·조익준 교수팀이 5월 12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열린 대한방사선종양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ROJ (Radiation Oncology Journal)’ 논문상을 수상했다. ‘ROJ 논문상’은 전년도 대한방사선종양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에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수여하는 상이다. 남택근·정재욱·조익준 교수팀은 ‘정위 체부 방사선 치료를 받는 국소 간세포암종 환자의 예후 인자로서의 PIVKA-II’ (PIVKA-II as a surrogate marker for prognosis in patients with localized hepatocellular carcinoma receiving stereotactic body radiotherapy) 라는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이 논문은 정위체부 방사선치료를 받은 간암 환자들에게서 간암표지자의 하나인 PIVKA-II 수치가 치료 후 감소하였거나 일정 수치 이하로 낮아진 환자군의 국소종양제어율과 무진행생존율이 유의하게 양호했음을 규명했다.
화순전남대병원 정승일·전남대병원 유성현 교수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국내 학술상 수상
화순전남대병원 정승일·전남대병원 유성현 교수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국내 학술상 수상 <정승일 비뇨의학과 교수> <유성현 비뇨의학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비뇨의학과 정승일 교수와 전남대병원 비뇨의학과 유성현 교수가 대한요로생식기감염학회 제21차 정기학술대회에서 국내 학술상을 받았다고 15일 밝혔다. 정 교수와 유 교수는 ‘수술전 무균뇨 환자에서 경요도전립선수술의 감염합병증에 대한 국내 다기관 연구(Korean Multicenter Study of Infectious Complications after Transurethral Prostate Surgery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Sterile Urine)’ 주제의 논문으로 상을 받았다. 정 교수는 책임연구자로서 이번 다기관 연구를 진행했으며, 상을 받은 논문에서 교신 저자로 참여했다. 유 교수는 논문의 제1저자로 참여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중년 남성의 삶의 질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하는 전립선 비대증의 근본적 해결 방법은 수술적 치료이다. 현재 대표적인 수술적 치료 방법인 루프를 사용한 경요도적 내시경하 전립선 절제술과 최근 각광받고 있는 홀뮴레이저를 사용한 내시경적 전립선 절제술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두 수술 방법은 비교적 안전하면서 확실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나, 전립선을 절제하는 수술 특성상 요로계 감염과 나아가 패혈증 발생의 가능성이 있어 적절한 예방적 항생제 요법이 중요하다. 정 교수는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전립선 수술 전 예방적 항생제 요법으로 시술 직전 한 번의 항생제 요법을 권고하고 있지만, 꾸준히 감염 합병증이 발생하고 있고 수술 방법에 따라 빈도가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며 “논문에서는 국내의 대규모 후향적 다기관 연구를 통해 전립선 수술 후 감염 합병증을 분석하고, 수술 방법에 따라 현재 실정에 맞는 적절한 항생제 기간을 제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오태렴 교수, 국제학술대회서 우수논문상
오태렴 교수, 국제학술대회서 우수논문상 <사진설명: 오태렴 교수(신장내과)> 전남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오태렴 교수가 최근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KSN 2023)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매년 개최되는 대한신장학회 국제학술대회는 신장학 분야에서 최신 연구 결과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다. 오 교수는 ‘만성콩팥병 비투석 환자에서 혈청 osteoprotegerin 농도와 신예후의 연관성(Association between serum osteoprotegerin level and renal prognosis in nondialysis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 in the Korean Cohort Study for Outcomes in Patients with Chronic Kidney Disease)’이라는 논문을 통해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화순전남대병원 배우균 교수 ‘대한종양내과학회 간암학술상’ 최우수상
화순전남대병원 배우균 교수 ‘대한종양내과학회 간암학술상’ 최우수상 SCI 국제저널 논문게재 등 연구성과 인정받아 <배우균 종양내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종양내과 배우균 교수가 대한종양내과학회(KSMO)가 주관하고 한국에자이가 후원하는 ‘2023 대한종양내과학회 간암학술상’ 최우수상을 수상했다. 시상식은 5월 19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리는 대한종양내과학회 정기총회에서 진행된다. 배 교수는 ‘지역적 고용량 자연살해세포 치료와 간 동맥주입 화학요법을 이용한 지역 진행성 간세포암 환자의 제1상 연구(A Phase I Study of Locoregional High-Dose Autologous Natural Killer Cell Therapy With Hepatic Arterial Infusion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Hepatocellular Carcinoma)’ 논문을 통해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배 교수의 논문은 SCI 국제저널 ‘Frontiers in Immunology’ 2022년 6월호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배 교수를 포함한 화순전남대병원 연구진들의 1상 임상 연구로, 치료가 어려운 간암 환자들에게 항암 치료 및 자연살해세포(NK) 병합 치료를 통해 치료 반응률을 높이고 생존 기간을 향상한 연구다. 이 연구는 후속 연구로 현재 화순전남대병원을 포함한 다기관에서 2상 임상 연구를 진행 중이다. 배우균 교수는 “이번 수상은 화순전남대병원의 많은 연구진이 함께 노력한 결과라고 생각한다. 특히 혈액내과 이제중 교수, 영상의학과 이병찬 교수, 간담췌외과 고양석 교수, 그리고 소화기내과 조성범 교수님의 협력 덕분에 성공적으로 이뤄졌다”며 “이 밖에도 연구에 참여해 주신 모든 환자분께 감사드리며, 앞으로 더 많은 연구를 통해 화순전남대병원에 찾아오는 환자분들께 조금이나마 도움을 주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정유진 응급의학과 교수, 김승호 학술상 수상
정유진 응급의학과 교수, 김승호 학술상 수상 <정유진 응급의학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응급의학과 정유진 교수가 지난 20~21일 경주 화백컨벤션센터에서 열린 대한응급의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김승호 학술상’을 수상했다. 대한응급의학회 학회장을 지낸 故김승호 교수의 업적을 기리기 위해 제정된 김승호 학술상은 최근 1년간 SCI(E)급 학술지에 제1저자와 교신저자로 게재한 논문들의 피인용지수를 종합해 가장 우수한 1명에게 수여하는 상이다.
화순전남대병원 노명희 팀장,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화순전남대병원 노명희 팀장,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 지역 암 예방 문화 확산 및 관리사업 추진 등 기여 <노명희 광주전남지역암센터 운영지원팀장> 화순전남대학교병원은 노명희 광주전남지역암센터 운영지원팀장이 최근 순천만생태문화교육원에서 열린 ‘제51회 보건의 날’ 기념식에서 보건복지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고 18일 밝혔다. 노 팀장은 지역단위 암 관련 사업체계 구축과 다양한 연령대의 지역민이 참여할 수 있는 암 예방 프로그램을 기획하는 등 지역사회에 암 예방 문화를 확산시키는 데 앞장섰다. 또한 광주·전남지역주민에게 지역맞춤형 암 관련 정보 제공을 위해 지역 내 유관기관 및 보건소들과 협력체계를 구축하고, 지역 특성을 반영한 암 관리사업 추진에 크게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노명희 팀장은 “앞으로도 광주·전남지역주민의 암 예방을 위해 지역사회 협력체계를 강화하고, 양질의 암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화순전남대병원 혈액내과 정성훈 교수 우수논문상·안서연 교수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화순전남대병원 혈액내과 정성훈 교수 우수논문상·안서연 교수 최우수 포스터상 수상 2023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서 학문적 성과 인정 <정성훈 혈액내과 교수> <안서연 혈액내과 교수> 화순전남대학교병원 혈액내과 교수들이 발표한 논문이 국제학술대회에서 학문적 성과를 인정받았다. 화순전남대병원에 따르면 정성훈 교수가 최근 서울 그랜드 워커힐 호텔에서 열린 2023년도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ICKSH 2023)에서 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정 교수는 ‘Real-World evidence of levofloxacin prophylaxis in elderly patients with newly diagnosed multiple myeloma who received bortezomib, melphalan, and prednisone regimen(볼테조밉, 멜팔란, 프레드니손으로 치료받은 새로 진단된 고령 다발골수종 환자에서 레보플록사신 예방요법의 실제적 근거)’ 논문을 통해 학술 발전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다. 이와 함께 안서연 교수 역시, 이번 학술대회에서 ‘Clinical significance of bZIP in-frame CEBPA mutated normal karyotype acute myeloid leukemia(bZIP in-frame CEBPA 변이를 가진 정상핵형 급성 골수성 백혈병의 임상적 의미)’ 논문으로 탁월한 연구업적을 인정받으며 최우수 포스터 부문 연제상을 수상했다. 한편 매년 개최되고 있는 대한혈액학회 국제학술대회는 혈액학 분야에서의 최신 연구 결과와 기술 동향을 소개하고, 국내외 전문가들이 모여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다. 이 대회는 대한민국 내 혈액학 연구자들과 전문가들뿐만 아니라, 국외 연구자 및 혈액학 분야에 관심을 가지는 다른 분야의 연구자들도 참가하고 있다.
전남대병원 최명이 간호부장, 광주시병원간호사회장 선출
전남대병원 최명이 간호부장, 광주시병원간호사회장 선출 제34회 정기총회서…2025년까지 2년간 <사진설명 : 최명이 간호부장> 전남대학교병원 최명이 간호부장이 광주광역시병원간호사회 회장으로 선출됐다. 광주시병원간호사회는 지난 5일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덕재홀에서 제34회 정기총회를 열고 차기 회장으로 최명이 간호부장을 선출했다. 임기는 오는 2025년까지 2년. 광주시병원간호사회는 광주지역 내 48개 의료기관의 6,042명의 회원으로 구성된 지역 대표 간호사 모임이다. 최명이 회장은 지난 1986년 전남대병원에서 간호업무를 시작해 내·외과병동, 중환자실 수간호사, 행정팀장, 교육팀장, 간호과장을 역임한 후 올해 전남대병원 간호부장에 취임했다. 최 회장은 “간호사들의 문제점을 파악하고 직역 간 협력을 통한 소통과 근무환경 개선을 위해 노력해 왔다”며 “앞으로 간호사들의 목소리를 대변하며 간호사가 행복한 간호현장과 병원간호사회의 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조형호 교수 연구팀 우수연제상 수상
조형호 교수 연구팀 우수연제상 수상 <사진설명 : 조형호 교수(이비인후과)> 전남대학교병원 이비인후과 조형호 교수 연구팀이 지난 1~2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개최된 제66차 대한이과학회 학술대회에서 우수연제상을 수상했다. 조형호 교수와 고유승 박사는 이번 학술대회서 ‘LPS유도 중이염에 대한 적색광 및 근적외선 LED 동시 조사의 치료 효과(Dual Red and Near-Infrared Light-Emitting Diode Irradiation Ameliorates LPS-Induced Otitis Media in a Rat Model)’를 주제로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LPS유도 중이염 모델에서 적색광과 근적외선 동시 조사를 통해 중이염증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음을 세계 최초로 입증, 향후 항생제 사용 및 재발을 줄이는데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만 아니라 연구진들은 이번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웨어러블 중이염 치료기를 개발 완료했고, 기술 및 디자인 특허를 등록했다. 조형호 교수는 “그동안 추진한 연구결과가 많은 의료진들에게 인정받게 돼 기쁘다”며 “중이염 치료기는 현재 식약처에서 의료기기 인증을 진행하고 있는 만큼 향후 임상시험을 통해 중이염 환자들 치료에 기여하고 싶다”고 밝혔다.
정명호 교수, 대만 심근경색학회서 특강
정명호 교수, 대만 심근경색학회서 특강 <사진설명: 정명호 교수(순환기내과)> 전남대학교병원 순환기내과 정명호 교수가 지난 26일 대만 타이베이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심근경색학회에서 ‘한국인 심근경색증 연구의 18년 경험(Eighteen-year clinical experience of Korea Acute Myocardial Infarction Registry)’이라는 주제로 특강을 했다. 정 교수는 지난 2021년 대만심근경색학회(TAMIS·TAiwan Myocardial Infarction Society) 창립학회에서 기조연설을 통해 한국인 급성심근경색증 등록연구(KAMIR) 연구를 소개한 바 있다. 이번 학회에서 TAMIS 회장인 David Huang 교수를 포함한 많은 심장학자들이 KAMIR의 연구경험에 관해 관심을 갖고 공동연구를 제안했다. 대만심장학자들은 오는 6월 8~10일까지 광주 김대중컨벤션 센터에서 개최되는 광주국제심장중재술 심포지엄에 참석하기로 했다. 정 교수는 “이번 대만심근경색학회에서 KAMIR 연구 경험을 소개하고 공동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전남대병원의 위상을 올리고 동양인 심근경색증 환자의 치료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지범 교수, 우암학술상 수상
이지범 교수, 우암학술상 수상 <사진설명: 이지범 교수(피부과)> 전남대학교병원 피부과 이지범 교수가 지난 25일 서울에서 열린 대한피부연구학회 주최 ‘2023 KSID symposium’에서 우암학술상을 수상했다. 우암학술상은 전남대 의과대학 피부과학교실 故김영표 교수의 기금으로 만든 우암학술연구재단에서 수여하는 상이다. 이에 재단은 대한피부과학회와 대한피부연구학회의 공동학술지인 Annals of Dermatology에 실린 논문 중 가장 우수한 논문을 선정해 수상한다. 이 교수는 ‘캡사이신이 주사(酒筱·rosacea)의 신경 염증 매개체에 미치는 영향(The effect of capsaicin and TRPV1 on neuroinflammatory mediators of rosacea)’이라는 논문으로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주로 코와 뺨 등 얼굴의 중간 부위가 빨갛게 충혈된 상태를 지칭하는 주사는 아직 원인이 명확히 밝혀지지 않은 만성 염증성 피부질환이다. 최근 감각 신경계의 조절장애가 이 질환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추측되는 가운데, 이 교수는 이번 논문에서 캡사이신이 신경 염증 매개체와 연관이 있으며 TRPV1 억제제가 주사 환자의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한편, 이지범 교수는 대한의진균학회와 대한여드름주사학회 회장을 거쳐 현대 대한피부과학회 총무이사로 활발히 학회활동도 하고 있다.
전남대병원 조진성·화순전남대병원 김희경 교수, 대한갑상선학회서 학술상 수상
전남대병원 조진성·화순전남대병원 김희경 교수, 대한갑상선학회서 학술상 수상 갑상선 엽절제술 후 재발인자 분석 주제로 <사진설명: 조진성 교수, 김희경 교수> 전남대학교병원 외과 조진성 교수와 화순전남대병원 내과 김희경 교수가 최근(3월3~4일)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된 2023 춘계 대한갑상선학회에서 학술상(우수포스터상)을 수상했다. 이번 수상으로 두 교수 모두 갑상선 관련 학회에서 2년 연속 학술상을 받았다. 수상한 논문은 ‘갑상선 엽절제술 후 재발인자 분석’으로 한쪽 엽에 국한된 다발성 갑상선암에서도 엽절제술을 충분히 시행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이는 지난 2015년 이후 갑상선 엽절제술이 확대되어 가는 상황에 논란이 많았던 엽절제술의 범위를 보다 안전하게 확대할 수 있다는 내용으로 세계적 수술 경향과도 부합하는 결과다. 조진성 교수는 현재 대한내분비외과학회 상임이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대한외과학회 재무위원, 대한갑상선학회 수련위원 등을 역임했다. 또 김희경 교수는 대한갑상선학회와 대한내분비학회에서 학술위원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고 있다. 한편 전남대병원과 화순전남대병원 내분비외과는 지난 1971년부터 51년간 2만3천건 이상의 갑상선 수술을 시행했으며, 내분비내과, 이비인후과, 병리과, 핵의학과 등 다양한 교수진과 긴밀한 협진으로 좋은 수술경과를 나타내고 있다.
first
prev
1
2
3
4
5
6
7
8
9
10
next
last
고객만족도 평가
현재페이지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에 대하여 만족하십니까?
현재만족도
100.0%
매우만족
만족
보통
불만족
매우불만족